본문 바로가기

비혼 [열린강좌]/강의자료

[강의현장] 2강 | 사진 & 소감과 함께하는 생생한 현장!




안녕하세요~ 언니네트워크입니다^^

지난 4월 15일 금요일, 언니네트워크 열린강좌 [비혼 제너레이션을 말하다] 두번째 강의!
<21세기 비혼담론장-신여성에서 골드미스까지>도 잘 마쳤답니다. 


두 번째 강좌의 뜨거웠던 열기를 사진과 수강자분들의 소감글을 통해 전해드릴게요.



2강 <21세기 비혼담론장-신여성에서 골드미스까지>를 강의해 주신 전은정 님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여성이 어떻게 재현되어 왔고, 재현에는 권력이 작용하면서 구체적인 경험을 삭제하는 데 여기에 어떤 방식들로 '집 밖'의 여성들이 위험한 여성으로 묘사되어 왔는지 지금의 '비혼' 여성이 그 연장선에 있음을 강의 해 주셨습니다.

전은정 님은 여성가족부 여성사전시관에서 학예연구실장으로 일하시고 2006년부터 동서울대학에서 여성학 강의를 하고계십니다.. 서강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 논문으로 <1920-30년대 신여성 담론에 관한 분석>을 쓰셨구요. <20세기 여성 사건사> (여성신문사 刊)의 필진이에요.



 



수강자 분들의 소감을 전해드릴게요.

과거의 여러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던 점은 좋았습니다.

역사적인 접근이나 해석은 흥미롭고 공감이 되었다. 연결고리의 발견도 새로웠어요.

근대와 현대는 구분되어지고, 특히 근대의 여성과 현대의 여성에는 경계가 뚜렷이 있다고 생각했어요. 신여성이 지금도 또 다른 형태로 나타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배워갑니다.

여성의 정체성은 누가 만들어 내는가, 여성이 문제시 되는 맥락을 역사를 통해 알 수 있었어요.

현재의 여성에 대한 재현이, 비단 현재만의 일이 아닌 역사성을 지닌 것 이란 걸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서 재밌고 좋았어요.


재밌고 유익 했어요 특히 “복지시스템의 기본전제가 ‘노동자‘개념으로 바뀌어야한다” 는 부분이 와 닿았어요.
연애로 여성이 하고 싶은 것은 자기 찾기라는 지적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1920년대에서의 결혼 없는 연애는 나쁜 것이라는 것이 지금도 많이 차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싱글단위로 생각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계속 반복되었던 신여성의 모습을 흥미 있게 볼 수 있었습니다. ‘나 자신’ 으로 살기위한 고민을 해봐야함을 느낍니다.


강의자료가 올라와 있답니다~ [보러가기]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