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혼여성

[비-혼란] 걱정마, 우린 사라지지 않아 언니네트워크 열린강좌 [비혼 제너레이션을 말하다]의 첫 강의, 1강 에서 논의된 내용과 관련해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언니네 채널[넷] 2010년 11월 특집글입니다^^ 비혼에게 늘 따라붙는 '불안'을 '밈'이라는 개념을 통해 다르게 해석하고 있는 글입니다~ '비혼으로 살아온 시간에는 어떤 물질성이 있다'는 말, 기억하시죠? ^^ [116호] 걱정마, 우린 사라지지 않아 (강위 / 언니네트워크 편집팀 , danz@naver.com) 결혼하지 않는 여자들에 대한 ‘우려’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결혼도, 출산도 수행하지 않고 제 멋대로 사는 인생에 대한 걱정 혹은 지탄, 그렇게 살다가 나중에 늙으면 어떻게 할 거냐는 것이다. 이 얘기는 너무 많이 들어서 식상하기도 하거니와, 모든 부모가 책임감이 .. 더보기
비혼 관련 추천도서! 지난 [비혼 제너레이션을 말하다] 1강 강의 중, 많은 분들이 비혼이나 가족과 관련한 읽을만한 책은 무엇이 있을지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서 말씀드린 대로 에 부록으로 나와 있는 추천도서 목록을 올립니다~! (※ 참고로 책 소개 내용은 온라인 서점의 출판사 설명 문안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입니다^^) ○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권명아 | 2000 | 책세상 우리는 가족적이라는 것 속에 투영된 따뜻함, 화목함, 우애, 포근함, 위안 등의 감정을 어디서 회복해야 하는가? 이 책은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박완서, 방현석, 신경숙, 배수아, 은희경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는지를 살폈다. ○ 가족의 이름으로 : 한국근대가족과 페미니즘 이재경 | 2003 | 또하나의문화 한국 가족, 그.. 더보기
<비혼 자료집> 다운 받으세요~! 현재 언니네트워크 열린강좌 를 진행할 때마다 판매를 하고 있기도 한데요, 2010년 5월 언니네트워크에서 발행한 이 도움이 될까해서 PDF로 올려놓습니다~ 2000년도부터 그동안 언니네트워크가 생산한 비혼 관련 자료들을 모아 자료집을 편 낸 것인데요, 언니네트워크에서 운영하고 있는 여성주의 사이트 '언니네' 채널[넷]에서 연재되었던 특집글, 언니네트워크 토론 프로그램인 감자모임에서 논의되었던 발제문, 성명서나 질의서, 외부 토론문 등이 실려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출판되거나 공유되었던 글들을 묶은 만큼, PDF로 확인하실 수 있도록 파일을 첨부했으니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도톰한 두께의 자료집을 내 손으로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언니네트워크 사무실로 연락주세요~ 인쇄비 5,000원과 우편료를 받고 .. 더보기
[강의현장] 1강 | 사진 & 소감과 함께하는 생생한 현장! 안녕하세요~ 언니네트워크입니다^^ 지난 4월 8일 금요일, 언니네트워크 열린강좌 [비혼 제너레이션을 말하다] 첫번째 강의! 많은 분들과 함께 를 잘 마쳤답니다. 강의를 기획하고 수강자 신청을 받으면서도 '누가 이 강의를 듣고 싶어할까?' '사람들이 관심있어하는 주제일까?' 많은 걱정을 했는데요, 이런 불안따위 단숨에 불식시켜버릴만큼 많은 분들이 강의를 신청해주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오히려 장소 문제 때문에 듣고 싶지만 미처 신청하지 못한 분들을 다 받지 못해서 저희도 너무 안타까웠습니다. 아쉽지만 강의에 함께 하지 못하셨던 분들, 그리고 강의에 함께 하셨던 분들도 이 날 어떤 모습이었는지 궁금하실 것 같아서 사진과 함께 수강자 분들의 간단한 소감을 전해드릴까해요~ 강의시간인 7시가 되기도 전에 속속.. 더보기
[강의자료] 1강 | 비혼 제너레이션의 등장과 여성 세대 경험 안녕하세요~ 언니네트워크 액션+공감팀입니다^^ 지난 주 금요일! 언니네트워크 열린강좌 [비혼 제너레이션을 말하다]의 첫 강의! 가 열렸습니다. 열혈 강의를 해 주신 전희경님, 강의실을 꽉꽉 채워주신 분들 모두 너무 감사드려요~ 수강신청이 지나 미처 강의를 듣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서 강의자료를 PDF로 올려드립니다. 앞으로 남아 있는 2~4강의 자료도 업데이트 할 예정이니, 참고해주세요! 첫 강의 현장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궁금하시죠? 곧 사진과 함께 공개하겠습니다! 더보기
[the 'B' word] - 4월 11일편 " '살다 보니 비혼'이어도, 비혼으로 살아온 그 시간에는 되돌릴 수 없는 물질성이 있다." - 전희경, 2011 언니네트워크 열린 강좌 “비혼 제너레이션을 말하다” 강좌 중 '혜화,동'이라는 영화가 있다. 아주 지겹고 느리게. 구석구석 삭삭 핥아 상처를 여며 온 주인공을 회상하며 그 영화의 감독도 '지난 시간들에는 물질성이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지난 시간을 빼버릴 수 있다고 치자. 리셋 시켜 버릴 수 있다고 치자. 그래서 좋은 값의 젊은 여자가 다시 될 수 있다고 치자. 그럼 나는 그 시간의 공백, 그 경험의 공백, 그 맷집의 근간을 오늘부터 다시 만들어야 할 것이다. 하다못해 내가 긁어모은 맛집 리스트, 한적한 카페리스트, 그 많은 기획안들도 다시 써 모아야 한다. ㅠ____ㅜ 오 마이긋니스. 그걸.. 더보기
[the 'B' word] - 4월 5일편 "비상하려는 충동을 느낄 때는, 절대로 포복하라는 데 동의할 수 없다." - 헬렌 켈러 그러니까 의문은 그런 것이었다. 나는 왜 엄마처럼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했을까? 무얼 보고 그런 생각을 했을까? 무슨 깜냥으로 엄마와 내 인생을 한 트랙에 놓고 비교해봤던 걸까? 사실 곰곰히 생각해보면 내가 생각하기에 엄마처럼은 안 살아야겠다고 스스로 생각'해낸' 적은 없었다. 오히려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던 말들은 "너는 엄마(고모, 이모, 할머니, 언니 등등)처럼 살지 마"가 아니었나. 그녀들에게 전해받은 '나 자신'으로서 비상하려는 강렬한 욕망. 꿈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할 정도로, 그냥 익숙해져버린 그 날개짓에 우리는 이미 전염되어 버렸을지도 모르겠다. 더보기
[the 'B' word] 연재 시작~ 주홍 글씨의 A처럼, the L word (어떤 미국 드라마 제목)의 L처럼, SK텔레콤의 T처럼(응??? -.-;;; ) 우리에게 B는 첩첩이 쌓인 의미의 중첩입니다. 누구는 '비'혼이라고 읽고, 누구는 '바'보라고 읽고, 누구는 '별' 이상한 X들이라고 읽고, 누구는 '브'라보라고 읽겠지요? 설마 저출산이라고 읽는 분은 없길 바라며... 언니네트워크가 B제너레이션들에게 선사하는 작은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일주일에 두 번, 비혼에 관한 한 구절, 한 장면, 한 대화, 혹은 어떤 한 감정들을 적어 보려 합니다. 이 작은 조각보들이 이어지고 엮여져서 B제너레이션의 일상을 탄탄하게 버텨주는 버팀목이 되기를!! 오늘부터 시작되는 the 'B' word, 일상 속 작은 단비같은 선물이 되기를 바랄께요 ^^ 더보기
<비혼PT나이트> 기획단에 함께해요! [비혼PT나이트] 기획단에 함께해요! 비혼의 고민을 함께 풀어가고픈 언니들~! 비혼을 축제를 통해 풀어내고픈 언니들~! 여성주의적인 아이디어가 넘치고, 기획력 돋는 언니들~! 비혼 축제에 설렜던 기억, 다시 한 번 그 설레는 여정에 함께 하고 싶은 언니들~ 모두 모두 함께해요~!! ‘비혼 제너레이션’의 등장을 알리는 첫 축제의 장을, 한 땀 한 땀 함께 새겨 나갈 [비혼PT나이트] 기획단에 지원해 주세요~! 비혼PT나이트는 기존의 결혼/가족제도를 벗어나 다른 형태의 가족 및 비혼을 지향하는 주체들이 시도하고 있는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하지만 개별적으로 흩어져 있는 삶의 모델들을 PT발표를 통해 공유하는 일종의 ‘프레젠테이션 대회’입니다. 비혼, 다양한 가족, 또 다른 삶의 방식에 대한 태도와 노하우, 실.. 더보기
<비혼 제너레이션을 말하다> 들으러가요! 미혼 아닌 비혼, 외롭진 않지만.. 30대 캔디들의 속사정, 비혼당당 그녀들이 사는 법 사람은 결혼하고 살아야죠...왜 그래야 하는데? 비혼 생활, 스물여덟 가지 『언니들, 집을 나가다』 이 기사의 주인공, 당신이 바로 비혼 제너레이션! 비혼 여성은 이기적인가? 비혼 여성은 불안한가? 비혼 여성은 저출산의 주범인가? 비혼에게 대답을 요구하는 사회에 당당히 맞서 성큼성큼 나아가기 위해 젠더연구자-페미니스트에게 듣는 4가지 이야기! 언니네트워크 열린강좌 ● 1강 | 비혼 제너레이션과 여성세대 경험의 차이 - 강사 : 전희경 (『오빠는 필요없다』 저자, 여성학 강사) - 일시 : 2011년 4월 8일(금) 저녁 7시 결혼적령기 여성들이 심각한 비혼난을 일으키기 시작한 시기, 2000년. 결국 1970년 이후 .. 더보기